자식 교육할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니 한번씩 봐두자...
유성음이거나 모듬일 경우 하에서 "ㅏ"만 생략 가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"하"가 생략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
(ㄴ,ㄹ,ㅁ ,ㅇ : 유성음) 가능,간단과 같이 유성음으로 끝나는것 뒤에 "하"가 오면 "ㅏ"만 생략되된다. 가능하지=>가능ㅎ지=>가능치 간단하게=>간단ㅎ게=>간단케 순수하게=>순수ㅎ게=>순수케
또다른 경우는 유성자음이 아닌 경우는 "하"가 모두 생략되어 넉넉하지=>넉넉지 생략하지=>생략지 가 바른 표현이다.
ps. 세상에 (됬다), (쇴다) 이런 표현은 없다. 됐다(o), 쇘다(o)가 맞는 표현이다. 되었다와 쇠었다의 축약형태
제37항 | ||||||||||||||||||||
| ||||||||||||||||||||
제38항 'ㅏ, ㅗ, ㅜ, ㅡ' 뒤에 '-이어'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. | ||||||||||||||||||||
| ||||||||||||||||||||
제39항 이미 '-지' 뒤에 '않-'이 어울려 '-잖-'이 될 적과 '-하지' 뒤에 '않-'이 어울려 '찮-'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. | ||||||||||||||||||||
| ||||||||||||||||||||
제40항 어간의 끝음절 '하'의 'ㅏ'가 줄고 'ㅎ'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. | ||||||||||||||||||||
|
'언어처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 처리 학술대회 (0) | 2007.07.25 |
---|---|
[스크랩] 엄마도 잘 틀리는 우리말 (0) | 2007.06.08 |
낮다 vs 낫다 헷갈리네... (0) | 2007.04.26 |
검색개발자 기근 (0) | 2007.04.18 |
[스크랩] [자뻑의 실전 맞춤법3]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(0) | 2007.04.04 |